코틀린에서의 for문은 다른 언어와 다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정리를 해보겠다.
1. in, ..
for (i in 1..3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}
D/MainActivity: i: 1
D/MainActivity: i: 2
D/MainActivity: i: 3
1부터 3까지 순서대로 출력한다.
2. in, until
for (i in 1 until 3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}
D/MainActivity: i: 1
D/MainActivity: i: 2
..이 아닌 until을 사용하게 되면 마지막 3은 포함되지 않는다.
3. step
for (i in 1..5 step(2)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}
D/MainActivity: i: 1
D/MainActivity: i: 3
D/MainActivity: i: 5
1씩 증가하는 것이 아닌 step 안에 수 만큼 증가하게된다.
4. downTo, step
for (i in 5 downTo 1 step(2)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}
D/MainActivity: i: 5
D/MainActivity: i: 3
D/MainActivity: i: 1
downTo를 사용하게 되면 값이 감소하게 된다.
5. List
val list = arrayListOf("A", "B", "C")
for (i in list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}
D/MainActivity: i: A
D/MainActivity: i: B
D/MainActivity: i: C
in 다음에 숫자가 아닌 list를 넣게되면 list 안의 값들이 i에 담기게 된다.
6. List, indices
for (i in list.indices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}
D/MainActivity: i: 0
D/MainActivity: i: 1
D/MainActivity: i: 2
list index를 출력하고 싶은 경우 indices를 사용한다.
처음 index는 0이다.
7. List value and indices
for ((i, v) in list.withIndex()){
Log.d("MainActivity", "i: $i")
Log.d("MainActivity", "v: $v")
}
D/MainActivity: i: 0
D/MainActivity: v: A
D/MainActivity: i: 1
D/MainActivity: v: B
D/MainActivity: i: 2
D/MainActivity: v: C
list 의 값과 index를 둘 다 출력하고 싶은 경우 withIndex 함수를 사용한다.
코틀린 for문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.
'개발 > Kotlin &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 & Android] 코틀린 나누기 소수점 (0) | 2022.01.07 |
---|---|
[Kotlin & Android] SimpleDateFormat 형식 문제 해결 (TimeZone) (0) | 2022.01.07 |
[Kotlin & Android] 코틀린 전역 변수 선언 (다른 엑티비티 변수 사용하기) (0) | 2021.12.01 |
[Kotlin & Android] 호출한 엑티비티에서 값 받기(startActivityForResult 함수 deprecated) (0) | 2021.11.30 |
[Kotlin & Android] Android 지속적인 음성인식 기능 구현 (SpeechRecognizer) (0) | 2021.10.28 |